법원 공무원
행정부에서 일하는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 입법부에서 일하는 국회공무원을 살펴봤으니, 이제 사법부에서 일하는 공무원을 알아볼 차례이군요. 사법부에서 일하는 공무원은 흔히 법원공무원이라고 부르는데, 국회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시험을 통해 5급과 9급 공무원을 선발해요. 그리고 급수와 상관 없이 모두 법원사무직렬과 등기사무직렬로 나뉘지요. 그런데 법원공무원 선발시험의 시험과목은 행정부 공무원 선발시험이나 국회공무원 선발시험과 많이 다르니 준비하신다면 별도의 대비가 필요할 것 같네요. 대신 선발 인원은 많은 편이니까 도전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우선 올해 1월 4일에 발표된 <2016년도 법원행정고등고시 및 9급 공개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를 보면, 선발 인원은 아래와 같아요.
시험명 |
계 |
법원사무직렬 |
등기사무직렬 |
제34회 법원행정고등고시 |
10명 내외 |
8명 |
2명 |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
320명 내외 |
일반 276명, 장애인 21명, 저소득층 3명 |
일반 18명, 장애인 1명, 저소득층 1명 |
9급 법원사무직렬의 경우 올해는 300명을 선발해서 예년보다 100명 정도 줄었는데요, 6,369명이 지원했다고 하니 경쟁률은 21.23대 1이군요. 물론 이것도 높은 경쟁률이지만 올해 국가직 9급공무원 경쟁률이 400대 1이었던 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럼 이번에는 9급 법원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의 시험과목을 살펴볼까요.
직렬 |
법원사무직렬 |
등기사무직렬 |
시험과목 |
헌법, 국어, 한국사, 영어, 민법, 민사소송법, 형법, 형사소송법 |
헌법, 국어, 한국사, 영어, 민법, 민사소송법, 상법(총론·회사편), 부동산등기법 |
위의 표를 보면 알수 있듯이 법원에서 일하는 공무원이라서 그런지 법 과목이 유난히 많네요. 국가직이나 지방직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국어, 한국사, 영어는 기본으로 들어있고, 헌법과 민사소송법이 두 직렬 모두 공통과목이네요. 그리고 법원사무직렬은 이 5개 과목 외에 형법과 형사소송법이 있고, 등기사무직렬은 상법과 부동산등기법이 있네요. 아무래도 법 과목이 많다 보니 다른 공무원 시험과 병행해서 준비하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다음으로 기출문제 찾는 법을 볼 텐데요, 대한민국 법원 시험정보(http://exam.scourt.go.kr) 사이트에 들어가면 찾을 수 있어요.
*화면 캡처: 대한민국 법원 시험정보, http://exam.scourt.go.kr
위 사이트에 들어가면 뜨는 첫 화면인데요, 구성이 간단해서 찾기 쉽겠죠? 어디 있을까요? 상단 메뉴에 시험자료실이 있군요.
*화면 캡처: 대한민국 법원 시험정보, http://exam.scourt.go.kr
시험자료실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아래로 서브메뉴가 나오는데요, 여기서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을 선택하세요.
*화면 캡처: 대한민국 법원 시험정보, http://exam.scourt.go.kr
그러면 이렇게 시험문제와 정답표 목록이 나와요. 여기서 보고 싶은 것을 선택하면 되겠죠?
*화면 캡처: 대한민국 법원 시험정보, http://exam.scourt.go.kr
저는 가장 최근에 실시한 2016년 3월 5일 시험을 선택했어요. 여기서 한글(hwp) 파일을 다운 받아서 열면
이렇게 시험문제를 볼 수 있어요. 어때요? 참 쉽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