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직업상담사

[직업상담학 기출문제]크릿츠(Crites), 포괄적 직업상담 #1

치유기 2017. 2. 8. 10:50

1. Crites의 직업선택분류 유형에서 비현실형에 해당하는 것은?

① 흥미를 느끼는 분야도 없고 적성에 맞는 분야도 없는 사람

② 흥미를 느끼는 분야는 있지만, 그 분야에 대한 적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 사람

③ 흥미나 적성 유형에 상관없이 어떤 분야를 선택할지 결정을 못한 사람

④ 적성에 따라 직업을 선택했지만 그 직업에 대해 흥미를 못 느끼는 사람

[2016년 1회]


2. 직업상담의 과정에 진단, 문제분류, 문제 구체화, 문제 해결의 단계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면담기법, 검사해석, 직업정보 등이 직업상담 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가진 학자는?

① 윌리암슨(Williamson)

② 보딘(Bordin)

③ 크릿츠(Crites)

④ 긴즈버그(Ginzberg)

[2015년 2회]


3. 포괄적 직업상담 프로그램의 단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직업결정 문제의 원인으로 불안에 대한 이해와 불안을 규명하는 방법이 결여되어 있다.

② 직업상담의 문제 중 진학상담과 취업상담에 적합할 뿐 취업 후 직업적응 문제들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고 있다.

③ 직업선택에 미치는 내적 요인의 영향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외적 요인의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하게 고려하고 있지 못하다.

④ 직업상담사가 교훈적 역할이나 내담자의 자아를 명료화하고 자아실현을 시킬 수 있는 적극적 태도를 취하지 않는다면 내담자에게 직업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알려줄 수 없다.

[2014년 3회]


4. 포괄적 직업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논리적인 것과 경험적인 것을 의미 있게 절충시킨 모형이다.

② 진단은 변별적이고 역동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③ 상담의 전반적인 진행에서 특성-요인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으로 접근한다.

④ 검사의 역할을 중시하며 검사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2014년 1회]


5. 포괄적 직업상담에서 내담자가 지닌 직업상의 문제를 가려내기 위해 실시하는 변별적 진단검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직업성숙도검사

② 직업적성검사

③ 직업흥미검사

④ 경력개발검사

[2013년 3회]


6. 직업상담의 문제유형에 관한 Crites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현실형

② 다재다능형

③ 적응형

④ 불충족형

[2013년 3회]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