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Crites의 직업상담 문제유형 분류 중 불충족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흥미를 느끼는 분야도 없고 적성에 맞는 분야도 없는 사람이다.

② 흥미를 느끼는 분야가 있지만 그 자신의 적성수준보다 낮은 적성을 요구하는 직업을 선택하는 사람이다.

③ 가능성이 많아서 흥미를 느끼는 직업들과 적성에 맞는 직업들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사람이다.

④ 흥미를 느끼는 분야가 있지만 그 분야에 대해 적성을 가지고 있지 못하는 사람이다.

[2010년 3회]


14. 다음 중 포괄적 직업상담 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 적합한 것은?

① 직업결정 문제의 원인으로 불안에 대한 이해와 불안을 규명하는 방법이 결여되어 있다.

② 직업상담의 문제 중 진학상담과 취업상담에 적합할 뿐 취업 후 직업적응 문제들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고 있다.

③ 직업선택에 미치는 내적 요인의 영향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외적 요인의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하게 고려하고 있지 못하다.

④ 직업상담사가 교훈적 역할이나 내담자의 자아를 명료화하고 자아실현을 시킬 수 있는 적극적 태도를 취하지 않는다면 내담자에게 직업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알려줄 수 없다.

[2010년 2회]


15. Crites가 분류한 흥미와 적성에 따른 사람의 유형 중 가능성이 많아서 흥미를 느끼는 직업들과 적성에 맞는 직업들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사람은?

① 부적응형

② 우유부단형

③ 다재다능형

④ 비현실형

[2010년 1회]


16. Crites의 직업상담의 문제 유형 중 가능성이 많아서 흥미를 느끼는 직업들과 적성에 맞는 직업들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것은?

① 다재다능형

② 우유부단형

③ 불충족형

④ 비현실형

[2009년 3회]


17. 포괄적 직업상담 프로그램은 여러 직업상담 이론들과 일반상담 이론들이 갖는 장점들을 서로 절충하고 단점들을 보완하여 일관성있는 체계로 통합시키기 위하여 Crites가 제안한 프로그램이다.  이 포괄적 직업상담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① 직업결정 문제의 원인으로 불안에 대한 이해와 불안을 규명하는 방법이 결여되어 있다.

② 직업상담의 문제 중 진학상담과 취업상담에 적합할 뿐 취업 후 직업적응 문제들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고 있다.

③ 직업선택에 미치는 내적 요인의 영향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외적 요인의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하게 고려하고 있지 못하다.

④ 직업상담사가 교훈적 역할이나 내담자의 자아를 명료화하고 자아실현을 시킬 수 있는 적극적 태도를 취하지 않는다면 내담자에게 직업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알려줄 수 없다.

[2009년 3회]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