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포괄적 직업상담 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 옳은 것은?

① 직업결정 문제의 원인으로 불안에 대한 이해와 불안을 규명하는 방법이 결여되어 있다.

② 직업상담의 문제 중 진학상담과 취업상담에 적합할 뿐 취업 후 직업 적응 문제들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고 있다.

③ 직업선택에 미치는 내적 요인의 영향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외적 요인의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하게 고려하고 있지 못하다.

④ 직업상담사가 교훈적 역할이나 내담자의 자아를 명료화하고, 자아실현을 시킬 수 있는 적극적 태도를 취하지 않는다면 내담자에게 직업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알려줄 수 없다.

[2009년 1회]


19. 직업상담의 과정에는 진단, 문제분류, 문제구체화, 문제해결의 단계가 있고, 직업상담의목적에는 진로선택, 의사결정기술의 습득, 일반적 적응의 고양 등이 포함된다고 한 학자는?

① 크라이티스(Crites)

② 크룸볼츠(Krumboltz)

③ 수퍼(Super)

④ 기즈버스(Gysbers)

[2008년 1회]


20. 크릿츠(Crites)의 직업상담의 문제 유형 중 가능성이 많아서 흥미를 느끼는 직업들과 적성에 맞는 직업들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것은?

① 다재다능형

② 우유부단형

③ 불충족형

④ 비현실형

[2007년 3회]


21. 직업상담의 과정에는 진단, 문제분류, 문제구체화, 문제해결의 단계가 있고 보았고, 직업상담의 목적에는 진로선택, 의사결정 기술의 습득, 일반적 적응의 고양 등이 포함된다고 한 사람은?

① 크라이티스(Crites)

② 크룸볼츠(Krumboltz)

③ 슈퍼(Super)

④ 기즈버스(Gysbers)

[2005년 3회]


22. 크릿츠(Crites)의 직업 선택 분류 유형에서 비현실형적 직업 선택 유형을 설명한 것은?

① 흥미를 느끼는 분야도 없고 적성에 맞는 분야도 없는 사람

② 흥미를 느끼는 분야는 있지만 그 분야에 대해 적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 사람

③ 흥미나 적성 유형에 상관없이 어떤 분야를 선택할 지 결정을 못한 사람

④ 적성에 따라 직업을 선택했지만 그 직업에 대해 흥미를 못 느끼는 사람

[2004년 1회]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