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기초

주요이론 : 신공공서비스론 #04(풀이 #03)

 

 

이전 관련 글  :

행정학 기초 ― 주요이론 ― 신공공서비스론 #01(기출문제)

행정학 기초 ― 주요 이론 ― 신공공서비스론#02(풀이#01)

행정학 기초 ― 주요 이론 ― 신공공서비스론#03(풀이#02)

 

 

신공공서비스론 기출문제가 10개였는데 앞에서 6개를 살펴봤으니 이제 4개가 남았네요. 자아, 스타아~~트.

 

 

. 신공공서비스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업주의 가치를 추구한다.

② 고객이 아닌 시민을 위해 봉사한다.

③ 전략적으로 생각하고 민주적으로 행동한다.

④ 공익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이번에 볼 문제는 2013년 7급 지방직 기출문제인데, 참 쉽죠? 신공공서비스론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의 경우 신공공관리론에 대한 설명이 바로 답이라고 했잖아요. 그런데 이 문제에서 그것도 첫 보기에서 딱 걸렸네요. 기업주의 가치라고 하면 바로 신공공관리론이 딱 떠오르잖아요. 당연히 답은 번이죠. 더 볼 필요도 없는 문제지만, 그래도 나머지 보기도 보고 넘어가죠. 시민을 위해 봉사, 전략적 사고, 민주적 행동, 공익, 앞에서도 나왔던 신공공서비스론 관련 키워드들이 반복되고 있군요.

 

 

. 다음 중 신공공서비스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정부의 역할은 시민에 대해 봉사하는 것이다.

② 기대하는 조직은 주요 통제권이 조직 내 유보된 분권화된 조직이다.

③ 공유가치에 대한 담론의 결과를 공익으로 본다.

④ 전략적 합리성을 가정한다.

 

2015년 서울시 9급 기출문제인데, 이 문제도 참 쉽죠?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봤다면 참 어려웠을 텐데 앞에서 7문제를 보면서 이미 많은 것을 알게 됐잖아요. 시민에 대한 봉사, 공유가치, 전략적 합리성, 이것들이 바로 앞에서 찾은 신공공서비스론의 키워드들이었죠. 그러니 ①, ③, ④는 당연히 옳은 설명이고, 나머지 하나 번이 옳지 않은 설명이고 답이겠네요. 그리고 분권화라는 말 들으면 딱 떠오른 게 있죠? 분권화는 바로 신공공관리론의 키워드들 중 하나였죠.

 

 

. 다음 중 신공공관리론과 신공공서비스론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공공관리론은 경제적 합리성에 기반하는 반면에 신공공서비스론은 전략적 합리성에 기반한다.

② 신공공관리론은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는 반면에 신공공서비스론은 사회적 기여와 봉사를 강조한다.

③ 신공공관리론의 대상이 고객이라면 신공공서비스론의 대상은 시민이다.

④ 신공공서비스론이 신공공관리론보다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더 적합한 이론이다.

⑤ 신공공관리론이 신공공서비스론보다 행정책임의 복잡성을 중시하여 행정재량권을 강조한다.

 

이번 문제는 2014년 국회 8급 행정직 공채시험 기출문제인데, 기출문제들 가운데 신공공서비스론과 신공공관리론을 비교하는 2문제 가운데 하나네요. 경제적 합리성, 기업가 정신, 고객, 이것들을 들으면 신공공관리론이 딱 떠오르고, 전략적 합리성, 사회적 기여와 봉사, 시민, 이것들을 들으면 신공공서비스론이 딱 떠오르죠? 그러니 ①, ②, ③은 모두 옳은 설명이니 당연히 답이 아니겠죠? ④번을 보면 신공공서비스론이 신공공관리론보다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더 적합한 이론이라고 했는데 정말 그럴까요? 신공공서비스론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한다고 했죠? 대화, 중재, 시민들의 관여를 통해 해결하죠? 서로 대화를 많이 하고 시민들이 참여를 해요. 그러면 어떻겠어요? 자주 만나서 대화하고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지역공동체가 어떻게 되겠어요? 당연히 활성화되겠죠. 그러니 ④번도 당연히 옳은 설명이고 이 문제의 답이 아니겠네요. 그럼 남은 하나가 바로 답이겠네요. 바로 번.

 

 

. J. Denhardt와 R. Denhardt가 제시한 신공공서비스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J. Denhardt와 R. denhardt는 기업가적 신관리주의가 평등성․공정성․대표성․참여 등의 가치를 약화시킨다고 설명하고 있다.

② 신공공서비스론의 이론적․학문적 뿌리는 시민행정학, 인간 중심 조직이론, 신행정학, 포스트모던 행정학 등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신공공서비스론에서는 단순한 생산성보다 사람에 대한 가치 부여를 중요하게 여긴다.

신공공서비스론은 규범적 가치에 관한 이론 제시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치들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 처방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⑤ 신공공서비스론에서는 시장메커니즘보다 공동체 가치를 중시하는 공공책임성의 강화를 중요하게 여긴다.

 

드디어 마지막 문제인데요, 이 문제는 2009년 국회 8급 행정직 기출문제예요.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네요. 이 문제도 답이 아닌 것을 지워나가면 간단히 풀 수 있는 문제네요. ①, ②, ③, ⑤, 이 4개의 보기에는 모두 신공공서비스론의 키워드들이 나와 있잖아요. 그러니까 이 4개는 옳은 설명이니까 답이 될 수 없죠. 그럼 답은 당연히 남은 하나인 번. 그리고 이를 통해 배운 것 하나. 신공공서비스론에서는 구체적 처방까지 제시하지는 않고 있구나.

 

자 숨가쁘게 달려왔는데요, 지금까지 신공공서비스론 기출문제를 모두 살펴봤으니 이제 정리를 해야겠죠? 언제요? 다음 포스팅에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