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KEY BARS



Year of Sustainable Cultural Ecology
미래형 자급자족
-자본주의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보완해 좀 더 ‘지속가능하고 인간적인 삶’을 고민

-친환경, 생태주의적 삶

-폭염에 따른 전기요금 누진세 폭탄 속에 에너지자립에 대한 관심 고조


1. 변화하는 자동차 시장, 신재생에너지의 시동을 걸다
1)전기차에 대한 3040세대의 관심, 충전소도 확대 예정

 신생태주의 라이프스타일 확산
 매출 비중은 크지 않으나 경제활동이 왕성한 3040세대에 집중

- 관련산업의 연쇄 성장 기대

2)‘탄소 없는 섬’ 프로젝트와 나눠 쓰는 자동차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 Carbon Free Island 2030 - 제주도

-2030년까지 제주 전역의 전력수요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

모든 자동차를 전기차로 전환

ESS, 태양에너지 발전설비
전기차 카쉐어링


2. 생활밀착형으로 스며든 ‘생태소비 패러다임’
 1)NO WASTE(쓰레기 없는 삶)

에코백이나 장바구니 사용

집안에서 지렁이 사육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2)도시 농업

도심 한복판의 도시농부

친환경 먹거리 장터 - 마르쉐@ 장터

3)미래형 생태주의

주택 시장의 변화

평수는 작더라도 테라스가 있는 아파트 인기.
실내 가드닝의 인기
자투리 공간 활용

-도심 속 협소주택

-도심 텃밭


3. 선택에서 필수가 된 ‘신재생에너지 산업’
1)스마트 그리드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 결합
-전례 없던 폭염에 예측불가능한 환경, 에너지 구조 변화가 시급

2)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관심 고조

홍천 소매곡리 하수종말처리장, 가축분뇨처리장 악취 문제 심각

-바이오가스 생산, 태양광 발전 설비

-전기와 가스를 판매해 마을 수익 창출

☞미래형 자급자족마을

애플 - 자사 전력 수요를 충당하고 남는 전기를 전력회사 등 기업에 판매하는 넷 미터링

*Net Metering :  전력 소비자가 재생가능 에너지를 생산하여 스스로 사용하거나 남는 전기를 전력회사에 판매

수열에너지에 대한 관심 고조 - 물과 대기의 온도차 이용


4. 향후 전망

: 유별난 소수가 아닌 대중의 가치관 변화로 인식할 때
1)소비자들이 생태소비에 자발적으로 참여
2)재건축 현장에도 변화의 바람

도시재생사업

3)사회나 다수가 정한 절대적 가치보다 개인의 상대적 가치가 더 중요해진 시대적 분위기


트렌드 코리아 2017
국내도서
저자 : 김난도(Kim Ran Do),전미영,이향은,이준영,김서영
출판 : 미래의창 2016.11.10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