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CKEN RUN
Rebuilding Consumertopia
소비자가 만드는 수요중심시장
소비자가 시장권력의 중심이 되고 있음
소비자의 수요를 실시간으로 즉각 반영하여 제품과 서비스를 시공간을 초월해 제공
실시간 개인 맞춤형 시대
- 모바일의 영향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가로지르는 플랫폼 경제
1. 수요 중심 시장의 등장
: 소비자, 시장의 주도권을 쥐다
시장권력 제1기
- 제조업
- 소수의 생산자가 공장에서 상품을 제조하여 판매
- 공급자 중심
- 소비자의 힘이 약함
- 독과점화
시장권력 제2기
- 유통
시장권력 제3기
- 소비자
1)소비자가 원한다면 언제든지, 양면시장의 등장
(1)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비자의 목소리가 즉각 전달.
(2)양면시장 two sided market
- 서로 다른 두 타입의 이용자 집단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상호작용하는 양방향 시장
- 시간과 자원이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과 상호 거래를 통해서 자원을 공유하는 형태
- 수요가 제품과 서비스를 결정
(3)온디맨드 On Demand - VOD가 대표적
2)공유경제, O2O, 온디맨드, 수요중심시장의 진화
2. 수요중심시장의 다양한 형태
1)빌려 쓰고 나눠 쓰는 ‘공유경제형 온디맨드’
주차공간 공유 앱
- 개인 사유의 유휴공간을 주차장으로 활용
초단기 렌털 서비스
- 쏘카
☞수요와 공급의 시간적 불일치를 해소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의 상황에 맞게 서비스를 선택하고 이용
2)언제나 어디서든 ‘O2O 연결형 온디맨드’
(1)온디맨드 치과 서비스
- 해당 시간에 약속한 장소로 치과의사가 방문 치료
(2)소비자지향적 배송
- 라스트마일 풀필먼트 Last Mile Fulfillment
: 온전히 소비자의 입장에서 제공되는 배송서비스.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로 배송
☞배달이 불가능했던 사업영역을 온라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3)오직 나만을 위한 ‘취향 세분화형 온디맨드’
3. 수요중심시장의 그림자
1)긱 이코노미의 시대, 고용 시장의 활성인가 고용의 질 하락인가?
임시직을 섭외해 일을 맡기는 긱 이코노미
☞새로운 고용 트렌드
2)‘우버화’되고 있는 시장, 스타트업 기업의 위기일까 기회일까?
시장을 선점한 기업
☞안정적인 플랫폼과 데이터로 구축한 소비자 정보를 바탕으로 대형화
4. 시사점
: 공급자와 소비자가 공생공영하는 시장의 틀을 만들어야 하는 시점
1)개별 수요 그 자체에 일대일 대응하는 것이 가능
☞맞춤형 경제
2)수요자 데이터에 기반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3)개인과 기업의 경계가 허물어짐
'2017년 트렌드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 코리아 2017]No One Backs You Up 각자도생의 시대 - 2017년 트렌드 #10 (0) | 2017.01.11 |
---|---|
[트렌드 코리아 2017]User Experience Matters 경험 is 뭔들 - 2017년 트렌드 #09 (0) | 2017.01.11 |
[트렌드 코리아 2017]No Give Up, No Live Up 버려야 산다, 바이바이 센세이션 - 2017년 트렌드 #07 (0) | 2017.01.11 |
[트렌드 코리아 2017]Era of ‘Aloners’ 내멋대로 ‘1코노미’ - 2017년 트렌드 #06 (0) | 2017.01.11 |
[트렌드 코리아 2017]Key to Success: Sales 영업의 시대가 온다 - 2017년 트렌드 #05 (0) | 2017.01.11 |